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사설] 합천 수해, 재발하지 않게 철저히 조사하라

  • 기사입력 : 2021-02-17 20:38:21
  •   
  • 합천·남강댐 댐 하류 수해 원인 조사 협의회가 어제부터 합천 지역에서 조사에 들어갔다. 수마가 합천의 피해 지역을 강타한 것은 지난해 8월이다. 당시 합천 지역에서는 하천이 범람하고 제방이 유실돼 황강 주변에 위치한 농경지 침수 435ha, 하우스 300동·주택 63건 파손 등 엄청난 피해를 봤다. 산사태도 8개소에서 났다. 이런 피해의 원인 조사를 미루고 있다 6개월이 지난 지금에 와서 한다니 뭔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니’, ‘K-방역이 어떠니’ 하는 이 나라에서 최소 1개월 이내에 이뤄져야 할 원인 조사가 너무 늦은 것이다. 이는 수마 피해 주민의 긴 고통의 길이를 더 늘리는 일이다.

    수해의 고통에 대한 보상은 그 원인을 정확히 밝혀 책임을 지우고 재발 대책을 세우는 것이다. 원인에 대해서는 합천군이 여러 번 주장하기도 했지만 피해 그 자체와 피해 주민 증언에서 잘 드러난다. 댐 방류 후 단 몇 시간 만에 온 마을 전체가 침수된 사실과 피해 90%가 합천 댐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황강 주변 마을과 농경지에 집중된 것은 합천 댐 물의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집중 호우가 쏟아지는 기간에 합천댐의 방류량을 급격히 늘렸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는 기록으로도 남아 있을 것이고, 또 남아 있어야 한다.

    이번 조사는 여기에 집중돼야 한다. 집중 호우가 예상되면, 또는 우기 전에 댐의 물을 비우는 것은 기본이다. 합천 수해는 이 기본을 어긴 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합천댐은 홍수조절 기능을 가진 다목적댐이다. 알려진 바로는 합천댐 관리단이 피해 당시인 지난해 8월 7일 오후 5시께 수문 5개를 열어 초당 500t을 방류하다 이후 초당 800t, 최대 초당 2700t까지 늘렸다. 군의 입장을 종합하면 이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했다. 합천댐관리단이 기본을 지키지 않았고 이로 인해 방류량 조절에 실패했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물관리가 환경부로 이관된 이후 합천댐 하류에서 수해가 발생한 점도 연계해 살펴보아야 한다. 물 정책 방향과 인재가 혼재된 재해일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철저하게 원인 조사를 하고, 재발 대책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