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임여성 10만명당 전문의 1명 미만
읍·면·동 17곳 중 경남 10곳 분포
“산부인과 등 지역 설치 의무화를”
우리나라 출생아 수가 지난해 처음으로 25만명 아래로 떨어지는 등 감소 추세인 가운데, 감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 경남, 부산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률 감소와 함께 임신·출산 인프라인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감소도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소아응급실 설치 의무화 등 정책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1일 육아정책연구소의 ‘임신·출산 및 영유아 의료 인프라 추이 분석 및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출생아 수는 지난 2016년 40만6243명에서 2021년 26만562명으로 급감한 데 이어 지난해 24만9000여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시도별 출생아 수 추이를 보면, 세종시를 제외한 전 광역지자체에서 출생률이 감소했는데, 울산시는 2016년 출생아 수와 비교해 2021년 출생아 수가 43.8%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남은 42.7%, 부산은 42.0%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반면 강원도는 26.9%로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2016년 대비 2021년 출생아 수가 가장 급격하게 감소한 기초지자체 10곳은 전남 곡성군(69.4%), 대구 서구(67.3%), 전북 순창군(66.3%), 경북 칠곡군(66.1%), 함안군(63.9%), 거제시(62.9%), 울산 동구(62.8%), 전남 보성군(62.7%), 전남 해남군(62.5%), 전남 강진군(62.2%)으로 집계됐다.
전국 읍·면·동 단위 행정구역별로 의료기관까지의 거리, 전문의 수, 수요자 수 등을 종합해 임신·출산 의료 인프라를 분석한 결과 지역별 격차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분만 접근성(분만 가능 병원 전문의 접근성) 경우만 놓고 보면 수도권을 비롯해 접근성이 좋은 지역은 가임여성 1만명당 약 2.4명의 산부인과 전문의에 의한 서비스가 가능한 반면 가임여성 10만명당 1명 미만의 전문의 접근성을 가진 읍·면·동은 전국 17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7곳 중 경기 연천군(1곳), 밀양시(1곳), 의령군(2곳), 창녕군(3곳), 합천군(4곳), 인천 강화군(4곳), 전북 진안군(1곳)의 면 지역 16곳 중 9곳, 유일한 동 지역인 1곳 등 10곳이 경남에 분포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저출산 현상으로 인구소멸 위험 지역이 늘어나면서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의 지역별 분포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며 “임신·출산 및 영유아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자체 중심으로 공공의료기관에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소아응급실 설치를 의무화하고 취약지 및 필수 의료에 대한 수가 가산 지원, 모자의료 이송체계 강화 등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도영진 기자 dororo@knnews.co.kr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도영진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