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세계 속 가야의 부활 (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가야사 부활 위해 정체성 확립·정책 지원·주민 참여 필요
‘해양 민족’‘철의 왕국’ 등지역 정체성 연계 전략 필요
연맹국가라는 특징 살려지역별 고유 콘텐츠 개발해야
가야사 초등학교 공교육지역대학 연구 활성화 중요
‘가야’를 생각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를까. 철기, 고분군, 김수로와 허왕후 ...조고운 기자 2023-10-09 20:19:06
[기획] 세계 속 가야의 부활 (중) 가야문화권의 구심점으로가야 중심지 경남이 가야문화권 활성화 주도해야
체계적 관리 위한 통합센터 구축 시급정부 입장 없어 지자체 유치 갈등유적 집중된 경남이 적극 나서야가야권 25개 시·군 연대 모색을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 9월 17일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면서 7개 유산이 있는 지역을 통합적으로 점...조고운 기자 2023-10-04 20:34:22
[기획] 세계 속 가야의 부활 (상) 경남의 뿌리, 가야 재조명‘가야의 뿌리’ 경남에 가야유산 67% 집중
전국 유적 2495건 중 1669건 도내에함안 194건 최다, 창원·진주·김해 순도내 사적 33개·국가지정 보물 10개
경남의 뿌리인 ‘가야’가 세계유산으로 부활했다. 바야흐로 가야의 시간이 시작된 것이다. 잊혔던 왕국을 세계인의 유산으로 만들기까지 경남...조고운 기자 2023-10-03 20:01:13
[기획- 세계유산 등재 가야고분군] (5·끝) 창녕 교동·송현동 고분군비화가야 지배 세력의 계층 분화 보여주는 봉토분 배치 눈길
대형 봉토분 주변 작은 봉토분들 위치일제강점기 도굴로 수많은 유물 반출오구라컬렉션 9점 중요문화재 지정‘창녕식 토기’ 독자적 토기 생산 증거금 공예품은 신라와 독자 교류 방증녹나무 관 등으로 일본과 교류 확인순장소녀 ‘송현이’ 국내 최초로 복원
...고비룡 기자 2023-09-26 21:39:11
[기획- 세계유산 등재 가야고분군] (4) 고성 송학동고분군가야 연맹 유력한 해상 세력 소가야 왕·지배층 무덤
무기산 구릉 주변 고분군 7기 위치숫자 적지만 군집 조성 특성 보여
봉토 축조 뒤 상부 굴착 석곽 조성해양 교역 창구 소가야 위상 과시
일제시대 발굴조사 명목 파헤쳐대부분 도굴돼 출토 유물 많지 않아
고성 송학동고분군은 5세...김성호 기자 2023-09-25 21:03:10
[기획- 세계유산 등재 가야고분군] (3) 김해 대성동고분군1~5세기 금관가야 최고 지배층의 대표 고분군
구지봉·봉황동 유적 사이 구릉 위치1990년 도시개발 지표조사 때 발견
초기 김해만 통한 교역 기반으로가야연맹 유력한 정치체로 성장
발굴로 전기가야 중심 고분군 판명가야 성립·전개 연구 큰 가치 지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이종구 기자 2023-09-21 20:55:49
[기획- 세계유산 등재 가야고분군] (2) 함안 말이산 고분군기원 전후~6세기 가야고분군 변화 보여주는 유일 고분군
아라가야 대표 유적·1000여기 추정총면적 79만7282㎡ 경남 최대 규모
남북 2㎞ 능선 자리한 대형 봉토분탁월한 경관적 가치 대표하는 유산
덮개석 새겨진 남두육성·별자리발전된 가야 천문사상 실증 자료
함안 말이산 고분군은 아라...김명현 기자 2023-09-20 19:55:28
[기획- 세계유산 등재 가야고분군] (1) 합천 옥전고분군화려한 금속공예기법 유물·국제교류 증거 로만글라스 출토
가야고분군(Gaya Tumuli)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가야고분군은 1~6세기에 걸쳐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가야를 대표하는 7개 고분군이다.
도내 △김해 대성동고분군 △ 함안 말이산고분군 △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김명현 기자 2023-09-18 11:12:49
[가야역사를 찾아서] (20·끝) 불멸의 가야문화(伽倻文化)잊혀진 왕국 아닌 ‘영원한 가야’를 꿈꾸다가야가 이 땅에서 사라진 지도 1500여년이 지났다. 가야는 우리나라 고대국가시대 때 고구려 신라 백제만의 3국이 아닌, 당당한 4국시대를 열어가며 한반도 남부지방에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나라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절대 부족과 또 기록이 왜곡 말살되고 의도...2017-11-27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9) 비밀 간직한 고분(古墳)무덤 속에서 잠자는 가야 역사▲고분유물, 가야역사 복원에 중요한 자료가야는 역사적 실체를 증명할 기록이 거의 없다. 역사에서조차 ‘신비의 나라’ 또는 ‘잊혀진 왕국’ 등 설화(說話)에 의존한 작은 왕국 정도로만 취급하며 가볍게 다뤄져 왔다. 또 신라에 귀속된 뒤로는 역사마저 신라에 포함...2017-11-20 22:00:00
[가야역샤를 찾아서] (18) 가락궁궐(駕洛宮闕)궁궐은 온데간데없고 역사만 잠자고 있다왕조시대에 왕실의 권위와 나라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궁궐이다. 지리적 행정적으로 나라의 중심이 되는 곳에 왕도(王都)를 정하고 왕도의 가장 중요한 자리에 큰 집을 지어 왕이 거처하면서 정사를 펴는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로부터 궁궐은 나라와 ...2017-11-13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7) 가야불교(伽倻佛敎)인도서 불교 직접 전래… 한반도 최초로 추정김해에는 가야불교 전래설을 뒷받침하는 유적 유물들이 많다. 수로왕후 허황옥의 모국, 인도 아유타에서만 볼 수 있는 불교의 상징인 코끼리상과 신어(神魚)문양, 파사석탑(婆娑石塔) 그리고 절터 등이 곳곳에 남아 있다. 코끼리상과 신어는 수로왕릉 앞 납릉정문(...2017-11-06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6) 가야철기(伽倻鐵器)철기문화 꽃피운 ‘철의 왕국’ 가야▲무기·농기구 다량출토 철의 왕국 입증가야는 철(鐵)의 왕국이다. 김해를 중심으로 한 옛 가야지역은 철의 대량생산으로 고대 가야국이 국가적으로, 그리고 우리나라 고대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도 바로 철 생산 때문이었다. 가야 제국(諸國)은 다만 6개...2017-10-30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5) 가야토기(伽倻土器)흙그릇에 담긴 가야인의 숨결과 체취신비의 베일에 가려져 있는 500년 가야역사의 빈 공간을 무엇으로 메울 것인가. 가야사를 연구하는 학자들과 옛 가야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이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의 해법을 구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가야역사는 좀처럼 우리에게 문을 열어주지 않고 ...2017-10-23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4) 가야차(伽倻茶)가야문화는 차향으로 시작되다
▲허왕후 시집올 때 가져온 혼수품
가락국 시조대왕 김수로(金首露) 왕의 왕후 허황옥(許黃玉)이 인도 아유타국에서 시집올 때 가지고 온 혼수품 중에는 옥합에 든 차(茶)의 씨앗을 비롯, 수를 놓은 비단옷과 금, 은, 주옥으로 만든 장신구 등이 가득 들어 있었다...2017-10-16 2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