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3년 09월 24일 (일)
로그인
|
회원가입
종합
포커스경남
사람마당
스포츠
영상
기획연재
월간경남
소식
전체기사
|
코로나19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교육
|
오피니언
|
사람마당
|
진단
|
초점
|
현장
|
어떻게 돼갑니까?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사람마당
|
인사/동정
|
부음
|
결혼
|
모임/동창회/향우회
|
개업
|
안내/모집
|
길라잡이
일반
|
NC다이노스
|
경남FC
|
LG세이커스
|
전국체전
|
경남도민체전
시군소식
|
교육소식
정치
민선6기 3년 진단
지방선거 D-1년
경제
내일청년
사회
사회
기자수첩
올빼미
길라잡이
경남독립운동가
코로나19
교육
논술/NIE
스포츠
종합
NC다이노스
경남FC
LG세이커스
방송/연예
지역
사람 마당
인사/동정
부음
결혼
모임/동창회/향우회
개업
안내/모집
오피니언
투고
세상을보며
열린포럼
촉석루
가고파
금요칼럼
사설
기고
경남시론
경제인칼럼
작가칼럼
동서남북
온라인 뉴스
@갱남 늬우스
궁금타
카드뉴스
문화
종교 / 복지
시가있는 간이역
건강
허권수의 한자이야기
문화캘린더
오늘의운세
정연태 사주칼럼
생활속의 풍수지리
길.예.담
이야기가 있는 공간
라이프
작가와 떠나는 경남산책
경남을가다
가볼만한 곳
생활
남해안 비경 환상의 섬
그곳에 가고싶다
경남비경100선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뭐하꼬
내 문학의 텃밭
청춘과 떠나는 세계여행
맛을 찾아서
점심 맛집
기획연재
사진으로보는 세상
초록기자세상
인간과 환경
2035 청춘블루스
만나봅시다
경남말 소쿠리
경남인
가야역사를 찾아서
사진과 시조로 읽는 한국의 석탑
옛 신문광고 다시보기
경남신문 심부름센터
마산어시장 알바들
동영상
영상뉴스
현장영상
뉴스인사이드
탐조여행 지지배배
어데가꼬
에브리바디
경남여행
포토
기자살롱
길라잡이
바로잡습니다
연재소설
사설탐정 박태수
사람속으로
시민기자
시민기자 동영상
소식
시군소식
교육소식
사고/알림
독자서비스
독자투고
자유토론
포토앨범
광고/홍보 게시판
독자안내
회사소개
신문구독신청
자동이체신청
온라인 광고안내
고충처리인
경남신문 >
라이프
>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20) 우수양생고추부각
고추에 찹쌀풀 발라 기름 튀겨
우수(雨水) 시절이다. 농사를 준비한다. 정월 된장을 담근다. 인체는 조양비위(調養脾胃)를 한다. 조선의 의가들에게 장경악(張景岳)이 지은 경악전서(景岳全書)는 많은 영향을 줬다. 여기에서 토기(土氣)가 만물의 근원이라면 위기(胃氣)는 양생의 주인이...
2015-02-26 07: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9) 입춘 양생 무찜
하수오·무·마른새우 등 넣고 졸여
사기(史記)에 입춘(立春)은 일 년을 새롭게 준비하는 때다. 백성은 춘주(春酒)와 춘병(春餠)을 먹으며 농사에 필요한 농기구를 점검했다. 오늘날의 문무백관인 삼공구경(三公九卿)은 3일 전부터 제사를 올리며 풍년을 기원하고 백성을 살폈다고 한다. 춘...
김용대 기자 2015-02-12 07: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8) 입춘양생춘권
부추·묵나물 들어간 양배추 쌈
첫 절기인 입춘(立春) 시절이다. 초목이 싹트기 시작할 때 간(肝)의 기운을 길러주고 보호하는 데 주의해야 한다. 평소보다 물이나 체질에 맞는 차를 많이 마셔야 한다. 좋은 점은 간장의 독소를 제거, 체액을 보충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원...
2015-02-05 07: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7) 대한양생오징어요리
오징어·마늘·부추 넣고 볶아
24절기 중 마지막 절기인 대한(大寒) 시절이다. 좋은 맛은 짠 것을 적게 먹고 쓴맛을 증가한다. 농도는 평시보다 진하게 먹는다. 더운 성질의 열량이 높은 음식을 섭취한다. 이렇게 하면 소화기관(脾胃)의 양기를 보호해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렇...
2015-01-29 00: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6) 대한양생해삼죽
해삼·동초 등 손질해 죽 끓여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는 속담처럼 올해 대한도 그렇다. 겨울나기 풍습 중 많이 알려지지 않은 풍습이 있다. 동지 다음 날부터 9일씩 나눈 81일인 구구(九九) 절기다. 대한(大寒)은 그중 삼구 (三九)와 사구(四九) 사이에 있다....
이문재 기자 2015-01-22 00: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5) 소한양생계란탕
황정 30분 끓인 후 계란 풀어
새해에 변함없는 소망은 건강하고 복 받는 한 해다. 특히 정초인 소한(小寒) 시절은 나의 건강이 올바른가를 다시 한 번 생각하며 잘 먹어야 되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것이 양생(養生)의 3번째 요결인 정확관념(正確觀念)이다. 필자가 어릴 때에는 식사에 ...
이문재 기자 2015-01-15 00: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4) 소한양생야채밥
오리고기·월동초 넣고 밥 지어
소한(小寒)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며 정초한파(正初寒波)라 불리는 강추위가 몰려오는 시기이다. 이 시절이 1년 중 가장 춥다. 양생의 중요원칙은 양신방한(養腎防寒-신장의 기운을 길러주고 한기를 막아준다)이다. 황제...
김용대 기자 2015-01-08 00: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3) 을미년보양탕
오리·동충하초·무 넣고 끓여
을미년(乙未年) 새해다. 고대에는 동지(冬至)를 새해로 삼았으며 이날 생명력과 광명이 부활한다고 했다. 동국세시기에는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달력을 나눠 줬는데 오늘날에도 이 시기에 새해 달력을 주고받는 풍속은 여전하다. 을미년은 푸른 양(靑...
이문재 기자 2015-01-02 11: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2) 동지양생만두
소고기·표고버섯 넣어 빚은 만두
동지(冬至) 시절이다. 올해는 애동지라 팥죽을 먹지 않는다. 애동지에 팥죽을 쑤면 아이들에게 나쁘다고 하여 팥떡을 먹는다. 예부터 밤이 일 년 중 가장 긴 시절, 밤에는 온갖 잡귀가 야행을 하므로 해가 있을 때 집으로 들어가서 일찍 수면을 취하라고 했다. 양...
김용대 기자 2014-12-26 11: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1) 대설양생무요리
간장·마늘 넣고 끓인 물 무에 부어
어느덧 연말이다. 양생지도(養生之道)는 동정(動靜)을 합하라고 한다. 동(動)은 움직임이다. 그러면 정(靜)은 어떻게 보아야 할까? 3개 왕조에 걸쳐 101세까지 산 당대(當代)의 손진인(孫眞人)은 무신망동 무신망념(身無妄動 身無妄念: 몸으로는 망령된...
이문재 기자 2014-12-19 11: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10) 대설양생배추요리
배추·해파리 양념해 무쳐 먹으면 폐의 열독 해소해 감기 예방 효과
눈이 많이 내린다는 대설(大雪) 시절이다. 대설 이후부터는 천지에 양기가 점차 생기기 시작하고 그런 음양의 변화에 따라서 호랑이들이 교미를 하기 시작하며 여지(상록수 과일나무)가 음기의 기를 받아서 새싹이 나오기 시작한다. 춘하추동의 4계절 구분은 동양...
2014-12-12 11: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09) 소설양생나물
시금치·구기자 데친 후 무쳐 먹으면
식보혈육(食補血肉)이란 말은 ‘먹는 것이 피가 되고 살이 된다’는 말이다. 현대인이 가장 무서워하는 질병의 대부분은 피와 살에 의해 생기는 병이다. 과음, 폭음이나 폭식, 특히 안주도 없이 빈속에 많은 술을 마시는 경우에 간에 무리가 오기 쉽다. ...
이문재 기자 2014-12-05 11: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08) 양생백숙
영계와 초벌한 황기·연자 넣어 삶아
소설(小雪) 시절의 양생(養生)의 원칙은 심청내화(心淸內火)이다. 며칠 전 겨울을 재촉하는 비는 마당에 있는 은행나무를 추풍낙엽(秋風落葉)으로 휑하게 벌거벗은 모습으로 만들었다. 낙엽이 진다는 것은 떨켜(離層)가 생겼기 때문이다. 겨울이 올 기미...
이문재 기자 2014-11-28 11: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07) 입동양생삼치찜
찜솥에 황기 끓인 후 삼치 넣어 쪄
음양오행은 철학, 의학, 역학 등 동양의 모든 학문체계와 사상의 기초라 볼 수 있으며, 그 기원은 갑골문자에서 찾을 수 있을 만큼 뿌리가 깊다. 오행의 관념은 은상(殷商)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고 춘추시대까지 추상적인 철학적 개념이었고, 음양사상...
2014-11-21 11:00:00
최만순의 음식이야기 (106) 입동양생반찬
다시마를 올리브유·간장으로 졸여
인체에는 오장(五臟)이라는 것이 있다. 이 오장의 어느 한 부분이 부족할 때에는 보양을 하고 넘칠 때에는 덜어내 주는 방법을 오장보사(五臟補瀉)라고 하는데 이것이 음식양생의 기본이다. 이것을 잘 표현한 것이 난경(難經)이다. 진시황 때 명의인 ...
이문재 기자 2014-11-14 11:00:00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가장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아시안게임] 5년 기다린 46억명의 축제, 오늘밤 9시 성대한 개막
5인 좌석에 100만원…부산불꽃축제 바가지에 상인도 뿔났다
기름값 11주째 상승…이번주 휘발유 16.7원·경유 21.5원↑
내년도 교육부 R&D 예산 1400억 삭감…“이공계 홀대”
민주, 26일 새 원내대표 선출…오늘부터 사흘간 후보 등록
교원 치유 상담 한 해 2만건 넘는데…전국에 상담사 29명뿐
시진핑 “중한 관계 중시를 한국 정책·행동에 반영하길”
이재명, 의료진 권고에 24일 차에 단식 중단…“법원 출석”
‘가을 정취 즐겨볼까’…전국 축제장·유명산에 행락객 ‘북적’
가장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하나로마트 창원점 주차요금 논란
주말 폭우로 창원시내 곳곳 침수
금호리조트, 통영 도남관광지에 또 리조트
[주말 ON- 여기어때] 마산 임항선 그린웨이
진주시가지 한복판에 잇단 싱크홀… 불안한 시민들
‘이태원 막말’ 김미나 창원시의원 징역형 선고유예
대산파크골프장 관리·운영 놓고 ‘시끌’
경남은행 횡령액 562억 아닌 2988억… 왜 5배 넘게 불었나
송가인·정동원, 의령 ‘부자’ 축제에 온다
경남 제조업 창업기업 수 5년새 1062곳 줄었다
연재시리즈
경남신문 심부름센터
마산어시장 알바들
인간과환경
어떻게 돼갑니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청년, 경남을 말하다
경남에도 사람이 산다
희망나눔 프로젝트
엉터리 항공기 소음 측정
데스크가 뽑은 뉴스
[정치]
“진해 웅동 소멸어업인 부지 매각은 배임 행위”
[경제]
지역에 감동을 주는 산학연협력 (3) 일머리교육본부-대호아이앤티
[사회]
경남 5년간 구급대원 폭행 58건… 가해자 구속률은 5% 불과
[문화]
문인이 만난 우리 시대의 청년예술인 (20) 연극 음악감독 이영섭
라이프
[주말 ON- 여기어때] 마산 임항선 그린웨이
옛 마산세관~개나리아파트 4.6㎞… 폐 철도 활용한 도심속 산책로철길 사이에 두고 우뚝 솟은 아파트·...
영상
|
포토
영상
|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