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사르초록기자세상- 특별기고] 생활 속에서 자연을 가꾸는 사람들송영기 (한국과학기술고 교장·자연보호 창원시협의회원)도심속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가 멋드러진 커피거리 옆에 ‘창원시자연사랑학습장’이 있다. 꽃을 사랑하고 가꾸며 녹색 커튼 식물을 심어 푸른 창원을 만들고자 하는 체험의 장이기도 하다. 5월이면 잡초가 회원들이 김을 메는 속도보다 더 잘 자란다는 표현이 어울릴 ...2022-10-12 08:01:10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빈번한 로드킬 막기 위해 우리가 할 일은강윤슬 (마산삼진고 1년)차를 타고 달리다 보면 도로에 쓰러져 있는 동물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로드킬, 동물이 빠른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를 피하지 못하고 부딪쳐 사망하거나 크게 다치는 것이다.
사람이 차에 치이면 보험사를 부르거나 병원에 가는 등 후조치를 취하지만 동물이 차...2022-09-28 08:06:46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매년 800만 마리 조류 죽음 내모는 ‘투명 구조물’김수현 (마산삼진고 2년)
투명한 방음벽 아래, 새의 사체를 본 적이 있다. 새가 투명한 벽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앞으로 비행하다 부딪혀 죽은 것이다. 이처럼 조류가 인간이 만든 투명한 구조물을 미처 보지 못하고 구조물에 머리를 부딪혀 죽는 사고를 ‘조류충돌’이라고 ...2022-09-28 08:04:29
[람사르초록기자세상] 환경을 지키는 일자리 ‘그린 잡’ 아시나요정재은 (마산삼진고 2년)
무역수지 흑자, GDP 상승, 가계 부채 절감. 이제까지 우리 사회가 나아간 방향은 오로지 경제 성장이었다. 하지만 근래 심각한 환경오염과 이를 저지하고자 수립되고 있는 국가적 차원의 정책 실현으로 확실히 이전과는 다른 사회적 흐름이 나타나고 ...2022-09-28 08:04:22
[람사르초록기자세상- 특별기고] ‘숲속의 별’ 반딧불이 어디서 볼까김은주 (남해생태관광협의회 사무국장)가을은 참 예쁘다. 습지와 자연, 있는 그대로의 가을 풍경은 더 예쁘다. 매년 이맘때쯤 한적한 시골 마을에 가면 반짝반짝 하늘을 나는 반딧불이 불빛을 볼 수 있다. 형설지공이란 고사성어로도 유명한 반딧불이는 개똥벌레라 부르기도 한다. 여름 무더위 지나고 기...2022-09-28 08:04:26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반딧불이·녹색커튼 체험] 빛나는 반딧불이 불빛, 영원히 빛나려면강혜주 (창녕여중 3년)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이 반딧불이를 직접 본 적이 있을까? 현대인들에게는 반딧불이의 아름다운 빛보다 도심 속의 불빛들을 보는 것이 익숙하다. 반딧불이는 깨끗한 곳에서만 살고,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반딧불...2022-08-31 08:16:14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반딧불이·녹색커튼 체험] 녹색커튼, 지구온난화 막는 친환경 실천김수현 (마산삼진고 2년)올해 여름도 어김없이 에어컨 없이는 잠시도 견디기 힘들 만큼 무더웠다. 여름만 되면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을 몸소 느끼게 된다. 하지만 에어컨을 가동할수록 지구 온난화가 더욱더 심해진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무더위를 극복할 수 있는 친환경적 방안은...2022-08-31 08:16:05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반딧불이·녹색커튼 체험] 여름밤 낭만, 반딧불이 넌 누구니?박예지 (창녕여고 2년)
#반딧불이 넌 누구니?= 지난 8월 20일 람사르초록기자단은 애반딧불이 유충을 보고 반딧불이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었다. 대부분 사람들은 반딧불이가 짝짓기를 위해 빛을 낸다고 알고 있지만, 반딧불이는 알, 애벌레, 번데기도 빛을 낸...2022-08-31 08:16:10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반딧불이·녹색커튼 체험] 자연이 만든 커튼으로 더위 식히고 환경 살려요정재은 (마산삼진고 2년)
‘올여름 폭염에 전 세계 수십 년 만의 최악의 전력난 우려’ ‘기록적 폭염에 천연가스 가격 고공행진’ 포털사이트 메인을 차지하는 기사들의 제목이 심상치 않다.
기록적인 더위로 인해 가정이나 공공기관에서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 사용이 필수적...2022-08-31 08:15:22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반딧불이·녹색커튼 체험] 빛공해에 ‘반딧불이’ 사라진다유준서(마산삼진고 1년)
과거 도시에서는 보기 어려워도 시골에서는 흔히 볼 수 있었던 반딧불이. 이제는 정말로 보기 힘들어졌다. 특별히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는 곳 중에서도 일부에서만 반딧불이를 볼 수 있다. 무엇이 반딧불이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는 것일까...2022-08-31 08:15:30
[람사르초록기자세상] 오랜 벗 따오기, 오래오래 만나려면정재은 (마산삼진고 2년)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리/ 떠나가면 가는 곳이 어디메이뇨. - 동요 ‘따오기’의 가사 일부
어릴 적 많이 불렀던 노래에도 녹아있는 따오기. 따오기는 이제 우리 곁에서 흔히 보기는 힘든 생물이 되어버렸다. 따오기는 현재...2022-08-03 08:03:05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따오기 멸종과 복원에 담긴 의미강윤슬 (마산삼진고 1년)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따오기’를 복원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따오기가 멸종한 이유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1940~1970년대 사용된 살충제 DDT이다. 인간에게 무해하다고 알려져 널리 사용되었지만, DDT는 땅에 잔류해 따오기...2022-08-03 08:03:15
[람사르초록기자세상] 서로 돕고 공생하는 ‘우포늪’과 ‘따오기’노현승(마산삼진고 1년)
창녕의 우포늪은 경남의 대표적인 늪이다. 우포늪 ‘바람길’ 산책로를 걷다 보면 논병아리, 쇠백로, 두더지, 족제비, 남생이, 자라, 두꺼비 등 수많은 동물 또는 동물이 남긴 흔적을 볼 수 있다. 또 수면을 뒤덮고 물가에 무성하게 자라난 생이가...2022-08-03 08:03:22
[람사르초록기자세상] 볼수록 더 알고 싶은 우포늪의 초록물결 ‘수생식물’김수현 (마산삼진고 2년)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 말, 우포늪은 온통 초록빛으로 물든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고 있다. 길가에는 선버드나무가 무성하게 자라나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고, 빽빽이 들어선 수생식물로 인해 수면 위에는 빈 공간이 거의 없다. 한데 뒤엉겨 잘 구분되지 않...2022-08-03 08:02:46
[람사르초록기자세상] 자연습지 우포늪 왜 보존해야 할까요김충헌 (마산삼진고 1년)
창녕 우포늪은 총 면적 2.31㎢에 이르는 우리나라 최대의 자연습지이다. 우포늪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창녕 우포늪.
...2022-08-03 08: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