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72) 강설위우(降雪爲雨)- 내리던 눈이 비가 된다지난 19일은 음력 설날이기도 했지만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두 번째에 해당되는 우수(雨水)였다. 우수는 양력으로 2월 18, 19일에 드니, 보통 음력 설에서 대보름 사이에 든다.
절기 이름을 ‘우수’라고 붙인 것은 추운 겨울에 내리던 눈이 기온이 올라가 이제부터 빗물이 된다는 뜻이다. 기온이 올라가고 공...2015-02-24 07:00:00
- (571) 안정신사(安定神思)- 정신과 생각을 안정되게 하자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지난 2월 11일 오전 인천공항에서 서울로 오는 영종대교에서 자동차 106중 추돌사고가 발생했다. 2명이 사망하고 63명이 부상했다. 우리 나라 역사상 가장 큰 추돌사고를 기록했다. 짙은 안개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최근 들어 자동차 추돌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지난 1월 16일 중앙고속도로 강원도 횡성(橫城) 구간에...2015-02-17 07:00:00
- (570) 유취천추(遺臭千秋)- 천년의 오랜 세월에 더러운 자취를 남긴다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중국에서 가장 실권이 있는 사람이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常務委員) 일곱 사람이다. 국가 주석, 국무총리, 인민대회의장 등이 모두 상무위원 가운데서 선출된다. 그 가운데 중앙정법위원회(中央政法委員會) 서기라는 직위가 있는데, 중국의 사법, 검찰, 경찰을 총괄하는 막강한 권좌다.
요즈음 ...이문재 기자 2015-02-10 07:00:00
- (569) 조령모개(朝令暮改) - 아침에 내린 명령을 저녁에 고친다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30%대로 떨어졌다. 소통을 하지 않는다는 국민들의 불만 속에, 최근에 와서는 연금개혁, 연말정산제, 지방세 인상, 건강보험료 개편 정책 등이 잇달아 문제가 되고 있어, 앞으로 지지율은 더욱 떨어질 전망이다.
내놓는 정책마다 야당은 물론 여당도 다른 목소리를 내고, 국...2015-02-03 00:00:00
- (568) 전총고위(專寵固位)- 총애를 오로지하여 지위를 확고히 하다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번영을 구가하던 당(唐)나라는 안록산(安祿山)이라는 변방 장수의 반란 한 번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안록산의 반란은 한 간신의 권력욕에서 비롯됐다. 그 간신은 바로 당나라 현종(玄宗)의 총애를 독점해 18년 7개월 동안 당나라의 정승 자리에서 당나라 정치를 좌지우지하던 이임보(李林甫)이다. 이임보는 겨우 글자를 ...이문재 기자 2015-01-27 00:00:00
- (567) 의무반고(義無反顧)- 진정한 정의는 돌아보는 것이 없다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거의 매일 사건·사고 소식만 듣다 보니 세상이 너무나 어지러워 나라가 곧 망할 것 같은 위기의식이 없지 않았다. 그러던 중 오랜만에 의로운 사람의 소식을 듣고 감동했다.
의정부(議政府) 화재 현장에서 밧줄로 열 사람의 귀중한 생명을 구해낸 이승선씨 이야기다. 우리 시대의 참다운 정의(正義)를 실현한 분이다.
...이문재 기자 2015-01-20 00:00:00
- (566) 전세진적(傳世珍籍)- 후세에 전할 만한 진귀한 책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 세종대왕(世宗大王)은 한글 창제한 업적만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나라의 학문을 크게 일으켰다.
그는 집현전(集賢殿)이란 연구기관을 만들어 젊고 실력 있는 학자들을 발탁해 전문적으로 연구와 저술만 하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했다.
젊고 실력 있는 학자들이 과거에 합격해 벼슬에 나오면 ...이문재 기자 2015-01-13 00:00:00
- (565) 군자신시(君子愼始)- 군자는 시작을 삼간다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을미(乙未)년이 밝았다. 을미년은 양의 해이다. 우리나라에는 옛날부터 양은 거의 키우지 않았고, 양과 비슷한 염소는 많이 키웠다. 농촌에서도 염소는 흔히 볼 수 있지만, 양은 보기가 어렵다. 그래서 우리 나라에서는 ‘양띠’를 그냥 ‘염소 띠’라고 한다. 양과 염소는 비슷하지만, 양보다 염소가 더 활동적...이문재 기자 2015-01-06 11:00:00
- (564) 상하화목(上下和睦)-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화목하게 지내다
최근 대한항공 부사장 조현아씨의 ‘비행기 회항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매일 여론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고 있고, 신문이나 방송의 주요 메뉴로 등장하고 있다. 어느 누구도 조현아씨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하거나 동정을 하는 사람이 없다. 여론이라는 것이 집단 분노를 노출하려는...이문재 기자 2014-12-30 11:00:00
- (563) 소재지단(召災之端)- 재앙을 부르는 실마리
대한항공은 세계 10대 항공사에 들어갈 정도로 규모가 크고 경영도 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창업주 조중훈(趙重勳) 회장은 1945년 트럭 한 대로 한진상사를 창설했다. 성실한 노력과 과감한 결단으로 매년 성장하여 지금은 대한항공뿐만 아니라 한진해운, 한진상사, 한진택배 등 육지, 해상, 공...이문재 기자 2014-12-23 11:00:00
- (562) 의혈궤제(蟻穴潰堤)- 개미 구멍이 둑을 무너뜨린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위(魏)나라의 정승인 백규(白圭)는 둑을 잘 관리해 홍수를 잘 막았다. 위나라는 지역이 황하(黃河)를 따라 있고, 서울인 대량(大梁 지금의 河南省 開封市)은 북쪽에 황하를 등지고 있어 홍수의 위험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물을 잘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그래서 백규가 정...2014-12-16 11:00:00
- (561) 어수화해(魚水和諧)- 물고기와 물이 잘 화합해 어울리다. 임금과 신하가 떨어질 수 없는 관계가 되다 중국 후한(後漢) 말기 조조(曹操)가 북쪽에서 황제를 끼고 백만대군을 거느리고 크게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 손권(孫權)은 남경 (南京)을 중심으로 한 동남쪽에서 확고한 기반을 잡고 있었다. 여기저기 떠돌며 뜻을 펴지 못하던 유비(劉備)가 서서(徐庶)라는 사람으로부터 제갈량(諸葛亮)이라는 걸출한 인재가 있다...2014-12-09 11:00:00
- (560) 사도전범(師경남도典範)- 스승의 도리의 본받을 만한 모범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사람은 자기가 자기를 깔본 그런 뒤에 다른 사람들이 깔본다”라고 말했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자기가 자기의 직업을 우습게 보면 다른 사람들도 그 직업을 우습게 본다.
최근에 교직의 가치를 아주 높인 사람이 있어 흐뭇했다. 지난달 16일 루마니아 대선에서 승리한 클라우...2014-12-02 11:00:00
- (559) 박람군서(博覽群書)- 여러 가지 책을 널리 본다
요즈음 인문학(人文學) 고전에 관한 책이 많이 출판되고 있고, 또 인문학에 대한 강연도 많이 열린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에 독서나 인문학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등장한다.
인문(人文)이란 말은 주역(周易)의 ‘천문을 보아서 시절의 변화를 살피고, 인문을 보아서 천지를 교화하여 이룬다(觀乎天文...2014-11-25 11:00:00
- (558) 장수선무(長袖善舞)- 긴 소매의 옷을 입으면 춤을 잘 춘다. 여건이 좋으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
경상대학교(慶尙大學校) 한문학과(漢文學科)에서는 매년 5월 성년(成年)의 날을 맞이해서 관례식(冠禮式)을 거행한다. 어느 해인가 그 식전 행사로 민속무용학과 학생들이 와서 전통춤을 춰 행사를 도와줬다. 하루 전날 총예행연습을 했는데, 민속무용학과 학생들도 와서 전통춤 연습을 했다. 청바지 반바...2014-11-18 11: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