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7일 (수)
전체메뉴

[기자수첩] ‘마산 제2자유무역지역’ 조성

  • 기사입력 : 2020-08-10 21:05:23
  •   

  • 기자의 부친은 1970년대 후반 마산자유무역지역 노동자였다. 부친은 한 일본계 전자 회사에서 일하며 한 달 급여 4만원을 받았고 하루 8시간 노동, 공휴일과 일요일에는 쉬는 호사(?)를 누렸다. 당시 부산에서 일하는 친구들은 한 달에 한 번만 쉬면서 하루 10시간 이상 근무해도 월 급여가 2만8000원이었다며 부친은 그때 경험에 아직 자부심을 갖고 있다.

    당시 마산자유무역지역 노동자들은 타 지역 공장 노동자보다 높은 대우를 받으며 지역 경제를 이끌었다. 1980년대 중반 마산자유무역지역 고용자 수는 2만8000명이 넘었고, 마산자유무역지역에서 생산된 부가가치는 국가경제를 지탱하는 역할을 했다. 마산이 국내 제7의 도시라는 말도 이런 저력을 바탕으로 나온 것이었다.

    마산자유무역지역의 경제적 성과는 전성기에 비해 위축된 것이 사실이지만 전국의 다른 산업단지형 자유무역지역과 비교해보면 여전히 높다. 전국 산업단지형 자유무역지역 중 마산자유무역지역 업체는 지난 3월 기준 117개로 전체의 41.3%, 고용(5400명)은 53.5%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6월 기준 수출액은 4억1100만달러로 전체의 59.2%였다.

    이런 지표는 최근 마산 제2자유무역지역 조성 논의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마산 제2자유무역지역은 지난 2011년 이미 경제적 타당성이 높다고 한 차례 연구용역을 통해 검증됐다. 당시 연구용역 결과를 비유하자면 ‘성적이 좋은 학생을 더 지원해 국가 핵심 인력으로 키우자’는 것이다. 게다가 마산의 가능성과 관련해 이미 공감대는 형성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 연구를 지속하고 있는 홍진기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마산은 입지가 좋아 제2자유무역지역을 조성할 경우 100% 입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정부 당국자들도 안다”고도 말했다.

    창원시도 힘을 싣고 있다. 시는 마산 제2자유무역지역이라는 용어 대신 디지털 신자유무역지역이라고 이름 붙이며 추가 지정 추진 의사를 내비쳤다. 한국판 뉴딜정책에 맞춰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으로 구성된 DNA 산업을 유치해 지금까지의 마산자유무역지역이 한 것처럼 미래 50년을 대비하겠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막대한 예산이다. 과거 연구용역 당시 필요한 예산은 2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왔다. 물론 계획에 따라 큰 차이가 있겠지만 코로나19로 국가 재정이 나빠진 상황에서 정부가 자유무역지역 추가 지정이 쉽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성과 평가를 통해 성적이 좋지 않은 자유무역지역을 지정해제하고 거기서 회수한 국비를 다시 신규지정에 이용하자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경제를 봉쇄하지 않았던 K-방역으로 주목을 받은 대한민국이 세계 주요 소부장 업체들의 관심을 사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19라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골든타임은 그리 길지 않을 듯하다. 제2자유무역지역 현실화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실질적인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마산자유무역지역이 경남의 자부심을 드높였던 것처럼 새로운 마산자유무역지역의 역사가 다시 시작되길 기대해본다.

    조규홍(경제팀)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조규홍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