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사진과 시조로 읽는 한국의 석탑] (36)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

백제의 흥망성쇠 돌에 가둔 채, 석탑은 말이 없다

  • 기사입력 : 2020-03-09 20:45:36
  •   

  • 거기 절이 있었다 한 왕조가 있었다

    무너진 계백의 하늘은 어떤 빛이었을까

    아득한 역사의 성문을 여는 열쇠는 내게 없다

    시방 나침반은 어느 곳을 향해 있나

    낙화암의 아우성도 장수 잃은 말울음도

    조용히 돌에 가둔 채 석탑은 말이 없다


    탑을 우러러 본다. 정읍에도 이보다 높은 건물은 즐비하다. 그러나 천년이 훨씬 지난 6세기경, 정림사지에 우뚝 세운 이 오층석탑(국보 제9호)과 비견할까. 이런 정도라면 건립 당시 석가세존의 나라를 칭송하여 무지개라도 찬연히 걸리지 않았을까. 이 탑은 그날의 황홀과 감동, 백제의 흥망성쇠를 재는 가늠자임에 틀림없다. 안타까운 것은 신성한 탑신에다 백제의 멸망과 연관 있는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大唐平百濟國碑銘’이란 글을 새겼다니…. 수난의 역사가 가슴 아프다. 분명한 것은 이 탑과 정림사지석불좌상(보물 제108호) 등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정림사는 백제 왕실 또는 국가의 상징적 존재였음을 짐작케 한다. 하지만 그 잊힌 역사의 성문을 여는 열쇠는 내게 없다. 낙화암의 전설과 황산벌의 흙먼지를 떠올리며 그저 역사의 한 페이지를 걸어볼 뿐이다.

    사진= 손묵광, 시조= 이달균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